-
3단계로 따라하는 나만의 블로그 주제 발굴같이공부해요 2025. 2. 20. 17:41
블로그는 여전히 많은 분들이 글쓰기를 시작할 때 접근하기 수월한 플랫폼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막상 블로그를 시작하려면 어떤 주제로 글을 써야 할지 막막하죠. 그래서 오늘은 블로그를 시작하려는 분들이 자신만의 주제를 찾는 데 도움이 될 만한 실용적인 3단계 방법론을 준비했습니다.
'같이공부해요' 카테고리의 글들은 AI의 글쓰기 능력을 실험하기 위해 작성되고 있습니다. 아래 글을 작성한 AI 서비스와 사람이 수정에 참여한 정도를 참고하여 글을 읽어주세요! 😀
1. 이 글은 perplexity가 주제와 틀을 작성했습니다.
2. 글의 약 20%가 AI로 작성되었습니다.
3. 글의 대부분은 사람이 작성했습니다.
1단계: 자신의 관심사와 전문성 파악하기
나만의 블로그 주제를 선정하기 위한 첫 번째 단계는 내가 관심 있고 잘하는 것을 찾는 것입니다. 그런데 이제 내가 어떤 것에 관심이 있고 전문성이 있는지를 0에서부터 고민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관심사와 전문성을 파악하기 위한 질문을 공유합니다. 아래 세 가지 질문에 스스로 답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내가 가장 관심 있고 전문성까지 가지고 있는 주제를 찾을 수 있을 거예요.
_
나의 관심사와 전문성을 파악하는 3가지 질문
- 일 외에 내가 가장 많은 시간을 쓰고 있는 취미나 활동은 무엇인가요?
- 친구에게 5분 동안 열정적으로 이야기할 수 있는 주제는 무엇인가요?
- 주변 사람들이 당신에게 자주 묻는 질문은 무엇인가요?
ex. 과자에 관심이 있다면 과자에 대한 얘기 만으로도 좋은 주제가 됩니다.
단백질 칩 - 버터구이오징어 맛, 칠리살사 맛(오리온)
몇 주 전이었다. 새로운 과자였다. 좋았다. 별별 음식의 맛을 다 담아내는 감자칩들을 제외하고는 이렇다 ...
blog.naver.com
2단계: 틈새시장(니치) 찾기
모든 사람을 위한 모든 정보를 블로그에 담으려고 하지 마세요. 1단계에서 발굴한 나의 관심사와 전문성을 바탕으로 작고 날카로운 타겟들을 공략할 수 있는 주제에 대해 쓰는 것이 좋습니다. 나만이 알고 있거나 나의 경험이 녹아 있다면 더더욱 좋고요. 어디에서도 찾기 어려운 글이 될 테니까요. 아래 세 가지 방법론에 맞춰 틈새시장에 맞게 주제를 벼려보세요.
_
틈새시장에 맞게 주제를 벼리는 3가지 방법
- 큰 주제를 세분화합니다. 예를 들어 '요리'라는 큰 주제에서 '1인 가구를 위한 간편 요리'로 좁혀볼 수 있어요.
- 특정 연령대나 직업군을 대상으로 합니다. '20대 직장인을 위한 재테크 팁' 등이 좋은 예시입니다.
- 어떤 주제든 개인적인 경험을 적절히 섞으면 특별한 콘텐츠가 될 수 있습니다.
ex. 같은 주제라도 타겟고객이 명확할수록 좋습니다.
사회 초년생 재테크, 재정 목표를 설정하자
가계 재무 비율 지표 가이드라인은 20대와 30대에 월급에서 얼마나 쓰고, 얼마나 모아야 삶의 수준을 유지...
blog.naver.com
3단계: 일단 써보고 피드백 반영하기
블로그는 수정하거나 삭제가 불가능한 PR자료를 쓰는 곳이 아닙니다. 1, 2 단계에 맞춰 발굴한 주제를 바탕으로 몇 개의 글을 쓰다 보면 분명히 반응이 있을거에요. 처음에는 많은 피드백이 있지 않겠지만 분명히 몇 개의 글 중에서도 조회수가 유독 높거나 댓글, 공유가 있는 글들이 나올 겁니다. 이런 피드백에 맞춰 주제를 조금씩 수정하거나 아예 바꿔볼 수도 있습니다. 아래 세 가지 방법을 사용해서 내 글에 대한 피드백을 확인하고 개선해 보세요.
_
작성한 글의 피드백을 확인하고 개선하는 3가지 방법
- 일단 몇 개의 글을 쓰세요. 그래야 피드백을 볼 수 있습니다.
- 어떤 글의 조회수, 댓글, 공유 수가 많은지 확인하고 댓글엔 어떤 피드백이 있는지 확인하세요.
- 가능하다면 주변 지인이나 커뮤니티 등에 글을 공유해 보세요. 훨씬 더 빠르고 직관적인 피드백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일단 쓰세요! 천천히 나만의 주제를 찾아가세요.
블로그 주제 선정은 시간이 걸리는 일입니다. 처음부터 완벽할 필요도, 그럴 수도 없어요. 일단 글을 쓰기 시작하고 점차 자신만의 주제를 찾아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여러분의 관심사와 독자들의 니즈가 만나는 지점에서 블로그의 정체성은 자연스럽게 만들어질 거에요.
write 베타테스터가 되어주세요! ✍️
'같이공부해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1년에 책 52권 읽는 방법론 feat.추천 도서 (2) 2025.01.22 글의 가독성을 높이는 방법 6가지 (1) 2024.12.23 글의 품질을 높이는 5단계 퇴고 방법 (0) 2024.11.28 클릭을 부르는 제목 작성법 5가지 (2) 2024.11.05 SEO 친화적인 글쓰기 팁 9가지 (0) 2024.10.24